K패션 인사이트 : 루비나 with 정소미 / 4월 8일(목) PM 6:00 라이브
"K패션 인사이트" 루비나 with 정소미, 박영선님과 진행되는 토크쇼와 지금 주목받고 있는 시니어 모과 함께 하는 라이브 패션쇼가 중계됩니다. 라이브 일시: 4/8일 (목) PM:6:00 많은 시청 바랍니다. *아래 VLIVE or YOUTE 중 클릭!!* [브이 스타일라이브] https://www.vlive.tv/post/0-22142283 [유튜브] https://youtu.be/O7f1patXiTs
2021.04.06 | 조회수 634
[한국섬유신문] "프로페셔널은 열정의 또 다른 이름" - 더모델즈 정소미 대표
"프로페셔널은 열정의 또 다른 이름" -더모델즈 정소미 대표 이영희 기자 / yhlee@ktnews.com http://www.k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788 패션산업 글로벌화 앞당기는 이노베이터 ‘디지털 중심 태도전환이 최우선’ 新모델 구축 한국패션 DNA 각인시킬 ‘Play back to RUBINA’ 기획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던 해의 홍콩패션위크로 기억된다. 마른 몸의 한국여성이 해외 럭셔리 패션쇼가 진행 중인 연출 부스로 들어갔다. 쇼가 끝나기가 무섭게 거침없는 영어로 현지 연출자에게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어렴풋이 기억나는 것은 조명과 동선 등에 대한 내용이었다. 유럽을 거쳐 아시아의 교두보 홍콩패션위크까지, 발품을 팔아 한국무대에 적용할 수 있는 테크니컬한 연출 매뉴얼을 만들어 가던 참이었다. 그 해 가을에 한국에서 개최된 SFAA를 비롯, 주요 디자이너의 패션쇼 무대의 조명, 동선에 큰 변화가 있었다. 기자의 머릿속에 각인된 ‘정소미 감독’의 인상 깊었던 모습이다. 정소미 감독은 패션 이노베이터이자 패션 크리에이브 디렉터다. 미스코리아, 모델 출신으로서 몸소 체험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어 전문 패션모델 양성은 물론 패션쇼 기획 및 연출의 선진화를 이끌어 왔으며 그 열정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세상이 급변하고 야외 런웨이 상공에 드론이 날아다녀도 ‘패션’의 변치 않는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정소미 감독과 같은 전문가의 역할은 언제나 중요하다. 정소미 감독은 최근 오랜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 패션인들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존을 다짐하고 있다. 1999년 설립된 더모델즈의 대표인 정소미 감독은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서울패션위크 전체 총괄 혹은 파트너사로 총기획 및 연출을 해 왔다.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각종 국내외 패션행사의 기획 및 연출, 해외홍보 등에 특화된 멀티 플레어 역할을 전담했다. ‘대한민국 모델계의 살아있는 레전드, 프로모델 교육자’ 등 정감독을 대변하는 수식어도 상당하다. 끊임없는 변화의 물살을 타고 있는 정소미 감독은 요즘 디지털패션쇼 연출가로 발돋움 하고 있다. 무대, 조명, 음향, 음악, 영상의 하드와 소프트 시스템의 조화를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연출되는 디지털 패션쇼에 대한 연구와 도전에 몰입하고 있다. “오랜경력은 진부한 것이 아니라 역사이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선배들은 대우만 바라지말고 진보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구요” 정소미 감독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갑작스런 변화에 직면한 서울패션위크를 비롯 제너레이션넥스트, 트렌드페어, 부산 한아세안패션위크 등 150개가 넘는 디지털 패션쇼 콘텐츠를 제작하고 바이럴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2020년 부터는 비대면 온택트 디지털패션쇼로 기획과 연출이 급전환하게 됐습니다. ‘Fashion is New Normal’이란 메시지를 담은 디지털 시대가 시작된 것이죠. 그로인해 패션쇼 및 이벤트 연출방향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됐습니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패션브랜드와 바이어, 이벤트 및 비즈니스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큰 과제를 안게 된 것입니다.” 정소미 감독은 이에 대한 솔루션을 찾기위해 런던, 밀라노, 파리, 뉴욕의 네트워크들과 함께 분주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우리만의 디지털 플랫폼을 갖추기 시작했다. 다행히 더모델즈는 2020년 서울패션위크 행사를 코로나 시대에 맞춰 최초의 디지털 런웨이 개최, 오프닝 접속자가 2만명을 상회하는 기록을 남겼다. 1002회의 B2B 수주상담,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 위챗 쇼핑 서비스, 지속가능한 패션서밋 등을 진행하게 됐다. 네이버V라이브, 쇼스튜디오 등 채널을 통한 중계는 국내 46만명, 해외 21만명이 시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새로운 시도의 물꼬를 튼 것이다. “디지털화는 그 동안의 영역을 초월해 전세계를 향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을 앞당겼습니다. 디지털 캣워크와 라이브 방송, 가상쇼룸을 통해 See Now, Buy Now의 새로운 디자인을 즐길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한 것이죠” 라는 정 감독은 “런웨이 디지털 패션쇼는 기존의 활주로 형태 런웨이를 벗어나 감성 지능, 스토리텔링 및 경험 디자인 기술이 높이 요구되고 있습니다”라고 미래 방향을 진단했다. 실제 패션쇼가 디지털 청중을 위해 촬영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우선 태도로의 전환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새로운 미래예측과 함께 정소미감독은 디지털 패션시대를 맞아 패션의 과거-현재-미래를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동아TV·더모델즈 프로덕션과 함께 진행한다. ‘Play back to RUBINA’를 테마로 패션아티스트 루비나 디자이너와 함께하는 토크쇼와 패션쇼를 오는 4월8일 촬영한다. 동아TV와 더모델즈가 1995년부터 현재까지 SFAA, 서울컬렉션, 서울패션위크의 모든 런웨이 패션쇼 자료를 공유한다. SFAA 디자이너 및 국내 유명 및 신진디자이너까지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온오프 패션세계에 대한 홍보와 인지도 극대화에 중점을 둔 기획이다. 첫 회는 루비나 디자이너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패션세계를 조명함으로써 한국패션의 DNA를 각인시킨다. 이로서 정소미 감독은 패션쇼 연출의 영역을 보다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소미 감독은 “제가 축적한 막대한 아카이브를 기록해가며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맞춰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문가로 활약할 것입니다”라고 본인의 사명을 밝혔다. 출처 : 한국섬유신문(http://www.ktnews.com)
2021.04.05 | 조회수 777
[Fashion Insight] 무대 연출 '마이더스의 손' 온라인 기획으로 성공적 변신
무대 연출 ‘마이더스의 손’ 온라인 기획으로 성공적 변신 김우현 기자/ whk@fi.co.kr http://www.fi.co.kr/main/view.asp?idx=70966&SectionStr=&SectionSub=&NewsDate= 정소미 더 모델즈 대표 온택트 패션쇼서 얻은 자신감 '디지털 런웨이 생태계' 구축에 박차 비대면 시대를 맞아 기존 오프라인 방식이 아닌 온라인 기획으로 패러다임을 바꿔 성공적으로 변신한 정소미 더 모델즈 대표가 디지털 기반의 '온택트(on-tact)' 연출에서도 발군의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코로나19가 촉발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맞물려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새로운 뉴노멀을 구축해야 하는 시점에서 비대면 방식의 온택트 무대 연출로 패션업계의 욕구에 부응하고 있는 것이다. 정 대표는 이상봉, 진태옥, 손정완 등 레전드급 디자이너의 무대를 도맡아 연출했으며 박영선, 장윤주, 안소라 등 내로라하는 톱 모델들을 배출해낸 국내 연출 기획의 베테랑이다. 하지만 현실에 안주하기 않고 비대면 시대 온라인 기획자로 과감하게 변신해 '디지털 패션쇼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 업계의 귀감이 되고 있다. ◇ 지난해 대표작은 '2020 서울패션위크' 디지털 런웨이 지난해 정 대표의 온택트 대표작을 꼽으라면 단연 '2020 서울패션위크' 행사다. 정 대표는 "지난 한 해 150여회의 패션 행사를 온택트 방식으로 연출했지만 그 중 '서울패션위크'를 성공적으로 치뤄낸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사상 첫 비대면으로 진행된 지난해 서울패션위크는 △총 45명의 디자이너가 펼치는 패션쇼 △신상 컬렉션을 현장에서 바로 구입하는 라이브 커머스 △국내 디자이너와 해외 바이어 간 1:1 온라인 상담회 등으로 꾸며져 전세계 누구나 원하는 곳에서 온라인으로 패션쇼를 즐길 수 있도록 배려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시 개최된 '제너레이션 넥스트(GN)' 역시 동대문 DDP 내부 패션쇼장이 아닌 DDP의 독특한 외관을 무대로 펼쳐져 눈길을 끌었다. 특히 패션쇼에서 선보인 제품을 그날 바로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See Now-Buy Now' 방식을 처음 시도하는 파격으로 주목을 받았다. 당시 모든 패션쇼와 라이브커머스 방송은 위챗, 네이버 등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 됐으며 국내에서 46만명, 해외에서 21만명이 시청하는 성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 온택트 '2020 트렌드페어'도 성공적 온택트 방식으로 진행한 '2020 트렌드페어'도 기대이상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지난해 트렌드페어를 사상 첫 온택트 행사로 치뤄야 했던 정 대표는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즈니스 능력을 겸비한 79개 디자이너 브랜드를 엄선, 이들의 전시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운영의 초점을 맞췄다. 여기에 네이버, 롯데백화점과 협업해 개성 넘치는 유망 디자이너 상품을 실시간으로 만날 수 있도록 라이브 커머스를 접목해 시너지를 냈다. 네이버의 경우 네이버TV를 통해 '라이브 랜선 패션쇼'를, N쇼핑 라이브를 통해 일반 소비자 대상의 '라이브 커머스'를, 네이버TV 라이브를 통해 '라이브 방송'을 각각 진행, 실시간 비즈니스와 브랜드 홍보를 입체적으로 보여줬다는 평이다. 롯데백화점과는 라이브커머스 채널인 '100 라이브'를 통해 실시간 판매 방송을 진행하고, 롯데 온라인몰 기획전에 입점, 디자이너의 감각적인 상품을 판매해 매출에도 도움이 됐다는 후문이다. 정 대표는 "참가 디자이너 대부분이 라이브 방송을 통해 브랜드를 소개하는 것이 처음이어서 낯설어 했지만 막상 시도하니 스몰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신진 디자이너들에겐 더 없이 좋은 기회였다는 평이 많았다"고 전했다. ◇ '디지털 패션쇼 생태계' 구축에 박차 정 대표의 올해 목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고착화 되면서 소비자와 업계 모두가 원하는 형태의 '디지털 패션쇼 생태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코로나 사태가 끝나도 비대면 기조는 계속 이어질 것이고 소비 패턴 역시 온라인이 대세를 이룰 것이란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정 대표는 먼저 이업종 전문가 그룹과 협업 시스템을 구축, 단순 영상 기록물이 아닌 스토리텔링 방식의 디지털 콘텐츠로 업그레이드 할 방침이다. 3D 가상 스튜디오를 통해 영화적인 요소를 가미한 360도 모션 픽쳐 기법의 디자이너 룩북을 제작, 고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해 감동을 이끌어 내겠다는 것이다. 정 대표는 "파리, 밀란, 뉴욕, 런던패션위크와 견주어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K-패션 디지털 무대의 기초를 닦는 것이 올해 목표"라고 말했다. 출처 : Fashion Insight (www.fi.co.kr)
2021.04.05 | 조회수 739
Fashion is to Love2 신청서 작성 방법
Fashion is to Love2 신청서 작성 방법입니다. ※ 한글/워드/이미지 세가지 중 한 가지 방법 선택해서 보내주시면 됩니다. 컴퓨터에 한글/워드가 깔려있는 경우 (없는 경우는 밑으로 내려주세요) 1. 첫번째 게시글에 첨부되어 있는 한글/워드 신청서를 다운로드 2. 인적사항 작성 및 사진 첨부 3. 작성한 신청서 메일로 보내기 컴퓨터에 한글/워드가 없거나, 작성이 어려운 경우 1. 현재 게시글에 첨부되어 있는 신청서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후 출력 2. 프린트 한 신청서에 인적사항 작성 및 사진 붙이기 3. 작성한 신청서 핸드폰 카메라로 찍어서 사진 첨부해서 메일로 보내기
2021.03.27 | 조회수 1,084
Fashion is to Love 2 - Senior Model Contest
2021 Fashion is to Love 2 2021.05.07 (단, 코로나 확산시 일정 조정) 세빛섬 - 예빛 디지털 온택트 패션쇼 서울의 컬처 하트마크인 세빛섬에서 시니어 모델과 함께하는 Fashion is to Love 2 디지털 온택트 패션쇼
2021.03.22 | 조회수 1,238